Andy Writer

로봇시대를 여는 한국 : LG vs.삼성

나쌤 2020. 3. 28. 20:41

LG만의 전쟁에 삼성이 참전하다.

   LG가 혼자서 발이 아닌 바퀴를 기반으로 한 로봇을 개발하고 '클로이홈'을 비롯한 '클로이'시리즈로 로봇시장을 점차 키워가고 있다. 늘 LG가 키워서 Pie가 커질만하면 삼성이 참전을 한다. 삼성의 참전은 엄청난 자본을 투여해서 만들어가는 시장이다. 

   LG의 로봇은 스마트씽큐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에 AI를 제공함으로서 시작되었고, 여기에 이동성을 부여하여 CLOi는 완성된셈이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축으로는 소프트뱅크의 '페퍼'가 있다. 역시 발이 없이 바퀴로 구동이 되는 구조이다. 

보스턴다이너믹스의 등장

   이러한 LG, 삼성의 출전전에는 구글의 참전이 있었다. 구글은 검색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로봇을 배치하고 그 로봇이 인간 주변에서 검색어를 찾아서 정보를 제공하는 전략적 목표를 노리고 로봇을 제공하고 있다 판단한다. 

   보스턴다이너믹스(Boston Dynamics)는 2013년 구글에 인수되면서 유명해졌다. 구글이 로봇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아닌지 많은 회사들이 염두해두기도 했다. 구글의 움직임은 IT사와 제조사 모두에게 큰 영향을 준다. 그 이유는 안드로이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보스턴다이너믹스의 인수를 앤디루빈(Andy Rubin)이 주도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알아보자 - 1부

보스턴 다이나믹스 이름만 들어선 상당히 생소한 회사일 수 있다. 그렇지만 아래 로봇 영상 만큼은 한번쯤 봤을것이다. 그렇다. 바로 이 로봇을 만든 회사이다. 자동화,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minm.tistory.com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알아보자 - 2부

이전편 :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알아보자 - 1부 전편에서는 구글이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인수하였으나 프로젝트를 리드하던 앤디 루빈의 퇴사하였고 그 이후 구글의 로봇 프로젝트가 흔들리기 시작하는 것을 볼수..

minm.tistory.com

 

   보스턴다이너믹스는 크게 4족보행로봇과 2족보행로봇을 개발해왔다. 인수 3년만에 구글은 보스턴다이너믹스를 팔기로 결정을 한다. 2017년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소프트뱅크가 이 회사를 인수한다. 

   이해하기 힘든 건 그저 일본식의 로봇공화국을 만들고 싶은 것 말고, 어떤 전략적 공통분모가 있어서 로봇산업을 이끌고 있을까? 나는 소프트뱅크는 이러한 로봇을 개량해서 가정용로봇을 만들려고 한다는 생각이다. 

 

구글 떠나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대재앙의 시작?

지난 16년간 무려 190여개의 회사를 인수했고 지금 이 시점에 보유 현금이 약 80조원가 넘는 세계적인 회사가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 대중들로부터도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자회사를 팔기로 결정했다면, 거기엔 분명 아주 특별한 이...

dongascience.donga.com

   소프트뱅크는 2014년 페퍼를 발표하여 감정을 읽는 로봇을 개발하였다. 인간의 감성(emotion)을 읽고 보스턴 다이너믹스의 이동성(mobility)을 가진 로봇이 만들어진다면 세상은 정말 한번의 혁명을 경험(experience)하게 될 것이다. 

 

日소프트뱅크, '보스턴 다이내믹스' 로봇회사 인수

일본 통신사 소프트뱅크가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으로부터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와 샤프트(Schaft) 등 두 로봇 회사..

biz.chosun.com

돌아온 아이보2

   이러한 섬세한 행동을 설계하여 오타쿠의 지지를 받고 있는 기업이 있다. SONY는 아이와의 인터랙션에 큰 무게감을 두었던 소셜봇 아이보...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Engagement가 강력한 제품을 만들었다. 강아지의 행동을 그대도 emulation하는 기능들이 많아서 외관만 로봇이지 감성적으로는 애완견(PET)의 감성(emotional personality)을 가진 로봇이다.  

LG가 연 로봇세상

   LG가 만든 로봇은 페퍼에 비하면, 한단계 이전이다.  

 

[특집 페이지] 한눈에 보는 LG 로봇

인공지능 스마트홈의 끝판왕 \'로봇\'. 인공지능으로 상호 연결된 스마트홈이 끝까지 진전된 모습이 바로 \'로봇\'일거라 생각됩니다.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도 앞다투어 로봇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LG전자는 \'클로이(CLOi)\' 브랜드를 앞세워 서비스 로봇 라인업을 대거 선보이며 업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클로이\'는 LG전자 로봇 포트폴리오를 총칭하는 브랜드로 \'일상 생활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고객과 교감하며 편의를 제공하는 동반자\'라는 이미지를

social.lge.co.kr

삼성의 로봇

   2019 CES에 삼성은 LG를 그대로 따라한 듯한 형태의 로봇을 들고 나왔다. 참 부끄럽지 않은가? 모티프를 그대로 카피를 하다니...

   이번에 삼성이 만든 로봇은 마치 보스톤다이너믹스의 4족 로봇들을 또 따라한 듯한 모습이다. 마치 그레이하운드처럼 날렵한 골격을 가진 형태이다. 과연 그만큼의 외관에 적합한 스피드를 가진 로봇으로 나올수 있을까? 

 

꼭 이렇게 생겨야만 했을까? 삼성의 도그봇

꼭 이렇게 생겨야만 했을까? 삼성전자가 프로토타입(Prototype·본격 상품화 전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핵심...

blog.naver.com

   문제는 디자인과 감성에 대한 준비이다. 삼성의 로봇은 괴기스럽기까지 하다. 산업용에서 이제 서서히 인간에게 다가오고 있는 로봇, LG와 삼성의 참전이후 좀 더 살만한 로봇이 나오길 바란다. 

2020.04.06

나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