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74

WWDC2023 0912 경험혁신은 없고 제품소개만 있었다

Vision Pro에 너무 힘을 쏟았나? 소문난 잔치에 먹을게 없다. 애플워치의 더블탭 기능집개와 엄지 손까락 두개를 같이 두드리면 전화연결, 화면 전환등이 된다. 이것은 이미 마이크로소프트나 메타의 고글을 쓰면 다 되는 기능 아마도 액셀러레이터와 자이로센서로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작동시킨다고 해서 특허를 피한 것으로 보임 Focus and Depth Control 인물사진 자동전환딥러닝을 이용한 인물사진모드 자동전환 야외 활동 지원엄청밝아졌다는 이야기 반복나노드랍(nano drop)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연락처 맞교환, 예전 범퍼2범퍼의 애플 버전 (코로나 대응인가?) 울트라 와이드밴드 커뮤니케이션 핸드폰 찾기가 아니라 친구찾기 기능USB-C표준은 절대 싫어했던 애플의 항복..

Andy Writer 2023.09.13

파비콘 favorite icon

https://www.sixshop.com/official-blog/%EC%9B%B9%EC%82%AC%EC%9D%B4%ED%8A%B8-%EB%8C%80%ED%91%9C-%EC%95%84%EC%9D%B4%EC%BD%98-%ED%8C%8C%EB%B9%84%EC%BD%98-%EB%A7%8C%EB%93%A4%EA%B8%B0-%EB%A1%9C%EA%B3%A0-%EC%97%86%EC%9D%B4%EB%8F%84-%EC%89%BD%EA%B2%8C-ri9j2u 웹사이트 대표 아이콘 ‘파비콘’ 만들기, 로고 없이도 쉽게! | 식스샵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뜨는 아이콘, 익숙하시죠? 이 아이콘은 ‘파비콘’이라고 불려요. 파비콘은 즐겨찾기(favorites)와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 즐겨찾기 아이콘을 뜻..

Glossary 2023.06.23

스플래시 페이지

https://brunch.co.kr/@kangsigner/1 스플래시 스크린은 꼭 필요할까?Do we really need a Splash Screen? | 스플래시 스크린(또는 런치 스크린)이란 앱을 구동(Cold start)할 때 보여주는 시작화면을 말한다. 앱의 데이터를 로딩하는 시간 동안 빈 화면을 보여주지 않기 위해 brunch.co.kr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367/ 스플래시, 어떻게 구성할까? | 요즘IT모바일 앱 실행 시 처음 만나게 되는 스플래시 화면. 짧게는 1초에서 길게는 3초 정도까지 이어지는 서비스와 사용자의 중요한 연결고리, 스플래시에 대해 알아봅시다.yozm.wishket.com http://icunow.co.kr/splas..

Glossary 2023.06.23

네이버 메인 개편에 숨겨진 법칙들

https://ditoday.com/%EC%99%9C-%EC%9D%B4%EB%A0%87%EA%B2%8C-%EB%B0%94%EB%80%8C%EC%97%88%EC%A7%80-%EB%84%A4%EC%9D%B4%EB%B2%84-%EA%B0%9C%ED%8E%B8-%EB%92%B7%EB%A9%B4%EC%97%90-%EC%88%A8%EA%B2%A8%EC%A7%84-ui/?fbclid=IwAR1GlQXd3UAMrgzMCqMYjmcGqu68j8RRkLrx-dl4AZNJcGMMNFPniE0rFSM “왜 이렇게 바뀌었지?” 네이버 개편 뒷면에 숨겨진 UI·UX 법칙 - DIGITAL iNSIGHT 디지털 인사이트UI·UX 심리학 법칙 5가지로 보는 네이버 메인 개편ditoday.com제이콥의 법칙 힉스의 법칙 핏스의 법칙

UX.UI디자인 2023.06.19

착시현상 - 뉴런의 왜곡, 폰조 착시(Ponzo illusion), 가현운동, 뮐러 리어의 도형(Muller Lyer figure), 에빙하우스 도형, 체르너 도형, 헤링 착시

https://mobile.hidoc.co.kr/healthstory/news/C0000105289?fbclid=IwAR0QmETDM1MrN5cHH5wRDqDvq9YG10RgriUXIh3vO3Nh2AjDmVw3ru-kuvM 마티즈 번호판은 ‘착시현상’?, 궁금한 착시현상의 세계 | 뉴스/칼럼 | 건강이야기 | 하이닥 경찰이 제시한 자료에서 자살한 국정원 직원의 마티즈 차량에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빛의 반사각도에 따른 착시 현상’이라고 밝히고 있는데요, mobile.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