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68

대표적 행동유형. persona. 가상인물

Persona Modeling의 강점은 합의된 대표적 행동유형을 반영하는 표준인물을 디자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기준으로 삼아 의사결정을 가속화하며 UX디자인 컨셉을 구체화한다는 것이다. 이 인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주제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대표성을 갖는 행동유형을 갖는 사용자와 필요시 보완해주는 보조적 사용자의 행위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조사의 결과는 보통 하나의 카드에 목적과 동기와 상황을 포함하는 하나의 사용행위들이 기록된다. 그그 사용행위들로부터 Critical Characteristics를 뽑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때문에 하위 단계의 개별행위로부터 사용자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인물패턴을 뽑아내는 것이다. 이 persona를 보고 일반..

UX를 중시하는 회사에서 기획자가 요구받는 UX업무에 대한 해결방안 나대열

회사가 다루는 주요 Item이 UX이거나 UX가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인 경우에는 문제가 생긴다. 회사에서 초기 기획단에서부터 UX에 대한 전략을 요구하고 그에 대한 기획을 포함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일정 부분 이상은 자신이 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기고 또 어떤 상황에서는 UX팀이 해주어야 할 일이 생긴다. 그러다보면 기획과 실제 UX개발팀간의 역할에도 문제가 생긴다. UX의 가장 기본은 실제 스토리보드를 그려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고 이를 문서로 남기는 등 디자인을 목적으로 하는 기획작업들이 있기 마련인데 이 부분이 기획자들이 보기에는 본인들이 하고 있는 기획작업 결과물 처럼 보인다. 기획자가 담당해야 할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결과물에 기입되어야 할 컨텐츠가 UX디자이너들이 하..

기획자와 UX디자이너의 기획 역할분담 Andyux.com

예전 웝기획자와 웹디자이너 시절에는 기획자는 microsoft office를 이용해서 문서를 만들고 디자이너는 adobe사나 (구)macromedia사의 tool을 이용한 graphic design motion design을 포함하여 css정의, 간단한 script를 제공하는 범위까지를 포함한 영역을 다루었다. 물론 Flash가 처음 등장하면서는 간단한 Flash작업도 가능했으며 Action Script까지 다루었었다. 기획자가 다루는 문서의 범위는 제법 넓다. 예를 들어 제안서, 견적서, 메일을 포함하는 각종 커뮤니케이션 문서, 프로젝트 단계별 산출물, 주요 프리젠테이션 문서 및 실제 프리젠테이션을 담당한다. 단계별 산출물중 가장 백미는 시나리오라고도 불리는 스토리보드이다. 이 스토리보드는 웹이 HTM..

비용합의에 대해서 Andy Na. 나대열

비용산출은 디자이너가 하기에 가장 힘들고 복잡한 작업이다. 정성적 작업들을 많아 해야하는 이들에게 정량작업을 시켜야 하니 말이다 비용은 어떻게 책정되어야 옳을까. 시장경제에의 흐름을 보면 구매자와 판매자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법이다. 그런데 UX디자인의 결과물은 직접잡히는 것도 아니고 무게를 달 수 있는 것도 아니니 참 난감하다. 또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어떤 모양이 나오기 어렵고. 나온다 하더라도 파악하는데 좀처럼 쉽지가 않다. 그걸 파악해 줄 객관적인 사람이 없다는 것도 문제이니 가격은 주는 사람 맘대로가 된다 결과물이 아닌 최초 작업의 난이도에 대한 가격은 어떨까. 그렇다면 어려워서 많은 사람이 들어가서 일하거나 기간이 길어지면 가격을 더 받는 전형적인 인건비 기반의 가격구조라서 일하는 회사의 입장은 ..

UX가 언어적 특성을 갖고 있을까. 나대열 Andyna

UI가 사람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랙션 즉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한다면 커무니케이션의 방식중 가장 1:1이면서 효과가 가장 큰 언어적 독창성을 가지 수 있는가는 매우 고무적인 연구과제 임에 틀림없다. 분명 UI를 보고도 군더더기가 있는 UI. 어떤 UI는 깔끔한 UI라고도 하는 걸 보면 분명 언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감성적인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훨씬 많은 UX는 더 강하다. 즉 UX는 훨씬 강한 커뮤이케이션 방식임에 틀림없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갤럭시 탭의 성패. 나대열:Andy Na

갤럭시 탭의 성공여부는 벌써 여기저기서 예측이 나오고 있다. 과대한 성공의 홍보 마케팅이 쏟아지고 있다 이것은 철저한 글로벌마케팅전략과 국내 홍보전략의 결과이다. 삼성의 홍보력에 감탄을 금치 못하고 언론통제의 수준을 넘어서는 장악능력 또한 안기부에서 배워온 수준을 넘어선다. 그렇지만 갤럭시탭은 UX적으로 분명 새로운 가치를 주고 있음은 분명하다. 아이패드는 문고사이즈를 타켓팅하였다면 이 놈은 포켓북을 타케팅하고 있다 컨텐츠 수급도 원활치 않고 애매한 휴대성이긴 하지만 분명 앱만 받쳐준다면 휴대폰의 작은 사이즈에 아쉬움이 큰 사람들에게는 환영할만한 기기임에 틀림없다. 다만 대중에게의 파급효과가 클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분명 휴대폰 만큼의 파급효과는 누리기 힘들 것이고. 보조기기 정도로 커봐야 pm..

요구사항의 홍수속에서 살아남기

UX디자이너들은 대개 기획자범주에도 속하고 디자이너의 범주에도 속한다. 그래서 때로는 기획자가 되어 GUI 및 Web디자이너들에게 이대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때로는 전략기획. 상품기획. 서비스기획. 제품기획자들에게 기획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수정. 보완하도록 종용하거나 아니면 요구사항을 재해석해서 UX요구조건을 새로 만들기도 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UX를 설득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 ⓒ나대열 Andy Na

UX를 설득하기란 사실 쉽지 않습니다. 모든 디자인이 그렇듯이 한방에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와서 와~~~ 하지 않는 이상은 이유와 근거에 대해서 fact 베이스로 설명하라는 챌린지를 받게 됩니다. 문제풀이식 접근 컨설턴트들이 주로 쓰는 방식이기도 하고 in house디자이너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복잡한 문재를 분석하여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적 분석툴을 적용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잘게 쪼개서 문제를 각개 격파하는 방식으로 해결안을 제시한다. pt능력에 의해 설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전문성에 의심을 받는 다면 아무런 쓸모가 없다. 고객데이터 기반의 UX접근 User Centered Design이라고도 하고 심지어는 디자인 과정에 user를 참여시키는 participatory desig..

UX전략이란? ⓒ나대열 Andy Na

전략이란 무엇인가? 선택과 집중을 위해서 주어진 사업환경에 맞는 방향성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Action Plan을 정비하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UX디자이너가 할 수 있는 전략이란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는 17년차를 달리고 있는 나 역시도 아리송한 점들이 많지만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을 거 같다. 사업전략에 연결된 UX전략 보통의 사업전략은 사업적인 성공을 위해서 경쟁사 대비 혹은 소속사 대비 무엇을 강화시켜야 할 것인가를 적게 되고, 해당 Feature나 기능을 추가하여 회사가 운영하고 있는 혹은 새로 기획하고 있는 서비스/제품(이하 상품)을 강화시키겠다는 전략을 담고 있다. 이 전략이 실행된다면 예상되는 수익이 함께 정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의 수익은 실제 금전적인 수익을 포..